유로파에서 기병과 포병, 즉 "보병이 아닌 것들" 에 대해서 다룬다.
우선 보병과의 비교를 통해 두 병과의 역할을 짚어볼까 한다.
보병은 전선, "앞줄"을 채운다.
기병은 전선, "앞줄"을 마찬가지로 채운다. 다만, 가장 끝의 자리를 우선적으로 차지한다.
전장 너비를 다 쓰기 전까지는 보완 관계, 이후 경쟁 관계로 말할 수 있겠다.
포병은 후열, "뒷줄"을 차지한다. 따라서 무조건 비경쟁 관계이다.
따라서 기병은 "그래서 보병보다 좋음?", 포병은 "그래서 언제 넣음?" 으로 요약할 수 있겠다.
설명이 간단한 포병부터 시작하자. 7레벨 4, 13레벨 12, 16레벨 최대한.
15레벨 이전, 포병은 비교적 적은 역할을 맡는다.
계산해보면 대략 보병의 20% 정도의 피해량을 추가로 가한다. 보병이 남아있는 한 포병은 계속 싸우지만, 보병을 3열을 갈아끼우는 격렬한 전투 (각자 군대가 100k를 넘기는 대규모 교전) 에서도 0.6 보병 정도 역할을 한다.
약간의... 상황을 타겠지만, 대부분의 상황에서 돈으로 보병을 더 뽑아서 붙이는 것이 강력하다.
따라서 포병은 공성 다이스에 맞추어 4개 > 12개까지 포함하는 것이 무난하다.
16부터는 완전히 상황이 달라진다.
1. 포병이 담당하는 공격력 비율이 높아진다. 이 시점부터 포병의 피해량은 보병의 30%, 장기적으로 22레벨 40%까지 증가한다. 보병의 체력 감소까지 고려하면 50~60% 정도까지도 바라볼 수 있다.
2. 포병의 사격방어 2핍이 생긴다. 포병의 방어핍은 절반(2~3핍 1개, 4핍 2개) 만큼 자기 앞의 유닛에게 더하므로, 사격방어 핍 1개... 대략 8% 가량의 체력을 보호하게 된다. 방어 2핍은 13레벨에도 열리기에, 그 때부터 대포를 늘려주어도 좋다.
따라서 보병 1열당 38%~48%즈음을 보존하여 이전의 2배 가량 성능이 증가하며, 교환비는 기병이 주도하는 '전장 너비'에서 포병이 주도하는 '사격 피해'로 넘어오게 된다.
대망의 기병은... 우선 플랭킹(측면공격) 능력이 있다.
1. 적의 보병이 전장너비를 채우지 못했고
2. 내 보병기병의 합이 적 보병기병의 합보다 많을 때.
기병은 항상 적 전열 한 칸 옆에 배치되어 2칸의 적을 일방적으로 공격한다. 따라서 전장 너비가 비는 소규모 전투에서 기병은 언제나 유용하다. 기병은 2부대의 사용을 전제로 한 듯한 느낌이 있는데, 기병의 높은 공격력 (1.3배)을 2회 플랭킹(기본)에 적용할 시 0.3+1.3 = 1.6 보병의 공격력을 추가로 가하여 1.5보병이라는 부가비용을 온전히 돌려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측면공격-1 부대. 즉 2칸에서 1*2부대, 3칸에서 2*2부대까지가 일반적으로 효과적인 기병의 최대치이다.
추가 측면공격 범위는 18레벨, 대포와 보병웨이브의 시대에 열린다는걸 감안했을 때 고려할 가치가 없다.
중반부... 대포가 등장하는 13레벨에서 완전히 중요해지는 16레벨까지, 전장 너비가 비는 일이 줄어든다. 플랭킹이 성립하는 순간이 거의 드물게 되어, 기병 2기 이상으로 플랭킹 너비를 가득채우는 것이 의미없는 이유가 이것이다.
따라서 이 때부터 기병은 적 보병(및 포병) 과의 힘겨운 싸움을 요구받게 된다.
상단의 사진이 그 결과이다.
8,17,28 레벨에 걸친 보병기병포병 전투의 결과가 세로 순서로 놓여있다.
오른쪽은 기병 전투력 15%를 찍고 전투한 결과이다.
8레벨 | 기병 = 1.20 보병 | 8레벨 기병+15% | 기병 = 1.40 보병 | 16% 개선 |
17레벨 | 기병 = 1.30 보병 | 17레벨 기병+15% | 기병 = 1.45 보병 | 12% 개선 |
28레벨 | 기병 = 1.07 보병 | 28레벨 기병+15% | 기병 = 1.18 보병 | 10% 개선 |
기병 전투력 +15%의 실제 성능이 대포 영향력에 밀려 점점 감소하는걸 확인할 수 있다.
군사 레벨에 따른 기병의 능력치는 따라서 다음과 같다.
~19레벨 = 1.2~1.3 보병
20~레벨 = 1 보병
기병은 2.5배의 비용을 받는걸 생각할 때, 상당히 실망스러운 결과이다.
골드 위주로 고려한다면 기병은 1.아예 쓰지 않거나 2.측면공격 2기만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외 유목정(이념)은 기병 가성비 2배 개선으로 2.4 보병(보병=기병)을 만들 수 있고
귀족정(이념)은 기병 가성비 1.4배 개선으로 1.68 보병, 추가 +40% 보정으로 보병=기병이 가능하다.
특수 국가(유목정, 귀족정 동유럽) 만이 기병을 한도까지 채워서 보병처럼 써먹을 수 있으며
다른 국가에서는 귀족정(이념)이 있을 때 돈을 대가로 약간의 성능을 선택적으로 고를 수 있고.
귀족정(이념)조차 없는 모든 국가에 2기 초과는 부적절하다.
따라서 기병 보정이 전혀 없는 국가들은 16레벨부터 기병 삭제해도 큰 문제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 돈을 그 즈음에 필요할 공장과 대포에 투자하는게 훨씬 낫다.
대부분 준 기병NI 국가들이 10~15% 정도를 받는데, 귀족정(이념)을 박지 않으면 20레벨부터는 배제하는 것이 오히려 낫다.
귀족정은... 경제+첩보+귀족으로 기병정책 2개 박고 2.2 보병까지 개선해 4드론을 달리는 컨셉 플레이라는 점만 기억해두자.
'게임 분석 > 유로파4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로파4 - 개발도, 무역 노드, 확장 (0) | 2023.01.15 |
---|---|
유로파4 - 지역, 병종 문화권 (0) | 2022.12.12 |
유로파4 - 핍과 보정치 (0) | 2022.10.31 |
유로파4 - 전투의 매커닉 (0) | 2022.10.31 |
유로파4 - 소모성 피해, 인력 (0) | 2022.10.31 |